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 공부자료

[김작가TV] 가치&장기투자자 디피 영상 요약

by sdkljf 2022. 3. 21.
반응형

김작가 TV에 출연한 전업투자자 디피의 주식투자 관련 영상에 대한 요약입니다.

 

개인투자자 디피 w/ 김작가TV 


지금은 투자할 시기인가? - YES

 - 2021년 9월(지난 촬영당시): 싼 주식을 찾기 힘든 적정 평가와 고평가의 사이 
 - 2022년 3월: 싼 주식들이 많아졌음. 매수자에게 기회.
 - 6개월동한 분할 매수하면 보수적인 관점에서도 충분히 추천할만 함
 - DCF를 생각할때 금리가 높으면 현재로 디스카운트하는 요소인 금리에 의해 현재 가치가 낮게 평가될수밖에 없음

 

투자 초보자에게 추천할 주식 - 넷플릭스 & 구글

 - 누구나 아는 기업이며 여전히 주가가 경쟁력을 담지 못하고 있어 처음 시작하기 좋음

 - 넷플릭스, 구글로 주식을 시작한 이후 점차 본인의 투자를 찾는 것을 권장

 이전에는 아마존과 구글을 추천했으나, 아마존의 CEO가 바뀌면서 미래 현금흐름을 생각한 과감한 투자를 하는 과거와 달리 현재 현금흐름을 신경 쓰고 주가 부양을 하는 등 아마존의 경영 문화가 전환됨

 

국내 추천 주식 - 네이버 & 카카오

 - 최근의 주가 하락, 제재, 안좋은 여론에도 불구하고 검색(네이버)과 메신저(카카오)에 기반한 경쟁 우위는 변함이 없음

 

재무제표에 담을 수 없는 것

 - 제조업과 같은 기존의 산업은 고객 = 매출

 - IT 기업은 잠재적으로 매출을 발생시킬 유저 수가 재무제표에 반영되지 않음

 - 예) 게임의 유저 수 증가는 서버 비용 증가로 인해 비용 증가라는 부정적 지표로만 반영되고, 유저 수 중 추후 발생할 유료 유저에 의한 미래의 매출 증가는 재무제표로 알 수 없음

 - ① 유저 = 매출인 기업, ② 유저에게서 장기적으로 매출을 발생시킬 수 있는 기업, ③ 장기적으로도 매출을 발생시킬 수 없는 기업을 파악하기 위해 기업에 대한 깊은 공부가 필요

 

좋은 주식을 찾기 위한 네 가지 조건

① 경쟁이 없고,
② 시장이 성장하고 있고,
③ 유저/브랜드 가치가 높고
④ 매출이 없는(잠재적 매출이 현 매출로 반영되지 않음) 기업

 

경쟁이 없다.

- 경쟁이 없다는 것은 진짜 없다는 것이 아니라 경쟁을 통해 우위를 침해받지 않는 굳건한 경쟁력을 의미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 디피는 기업이 미래에 달성할 매출에 대해 예상하여 이를 시준으로 저평가된 주식에 투자
- 따라서 시장의 성장성은 중요한 투자 기준
- 시장의 성장성 검토할 때는 대해서는 애널리스트의 분석을 확인
- 애널리스트 의견을 그대로 받아드린다기 보다는 다양한 시각을 확인하기 위함
 

유저/브랜드 가치가 높다

 - 유저/브랜드 가치는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어렵고 정성적으로 판단.
 

매출이 없다

- 매출이 없는 기업이 적정 가치보다 싸게 살 수 있음. 이런 기업은 퀀트투자자들의 시야에서 벗어나 있어 저평가 가능성이 높음
- 매출이 없다는 것은 매출이 "0"이라기 보다는 기업에서 할 수 있는 사업 또는 새로 착수한 사업에서의 매출이 반영되지 않음을 의미
- 기존 사업 유저 중 신사업으로 전환되는 비율을 가정하면 신사업의 매출을 파악 가능
 

넷플릭스를 추천하는 이유

넷플릭스의 강점 1: 강력한 유료 유저 층

 - 무료 유저와 유료 유저가 합쳐져 전체 유저 수를 이루는 타 회사와 달리 모두 유료 유저임에도 그 수가 어마어마함

 - 앞으로도 가격을 올릴 여지가 있으며, 기존 유저에게서 매출을 더 발생시킬 여지가 있음

 - 넷플릭스는 Bottom-up 형태로 의사결정을 하여 서비스를 발전하는 기업문화가 있어, 좋은 서비스를 도입할 가능성이 매우 높음
 

넷플릭스의 강점 2: 쉬운 구독 해지로 인한 후발 주자 억제

 - 넷플릭스는 구독 해지를 쉽게 만들어 둠
 - 이로 인해 후발주자도 즉시 구독취소하도록 하였고, 후발주자의 프로모션이나 킬러컨텐트로 인해 후발주자로 넘어간 유저를 다시 복귀시킬 수 있음
 

넷플릭스의 강점 3: 컨텐츠 제작에 유리

 - 많은 유저수로 인해 컨텐츠 제작자는 넷플릭스에 컨텐츠 공급을 선호
 - 매출이 높다보니 동일 비율을 컨텐츠에 투자한다 해도 더 좋은, 더 많은 컨텐츠를 제작 가능
 

넷플릭스의 약점: 볼게 없다 & 마이너한 이미지

 - 볼만한 컨텐츠가 없다 느낌
 - 이는 넷플릭스 시리즈가 미완결로 제작을 중지하는 경우가 많고, 알고리즘에 의한 추천이 넷플릭스 오리지널에 집중됨에 기인
 - 넷플릭스가 많은 유저 수를 보유함에도 넷플릭스 오리지날은 디즈니의 컨텐츠와 같이 누구나 안다라는 이미지가 없음
 - 예) 넷플릭스 vs 디즈니 => "너 넷플리스의 **** 봤어?" vs "너 어벤져스 봤어?"

 

넷플릭스 오리지널 컨텐츠는 오징어 게임의 흥행으로 메이저 컨텐츠로 바뀌고 있으나, 여전히 마이너한 이미지

 

매크로 분석 - 금리, 인플레이션, 전쟁

 

금리

 - 금리의 영향보다 과도히 하락한 회사가 있고, 테마, 섹터의 하락과 함께 하락하여 저평가된 기업을 찾으면 금리인상으로 인한 기업가치 하락을 통해 이익을 볼 수 있음
 

인플레이션

 - 최근에서야 인플레이션이 이론의 여지가 없이 확실해 졌지만 실생활과 수치간 차이가 있었다 보기 때문에(실제로는 더 일찍이 발생했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수혜주 투자는 늦었다 생각함
 - 자신이 투자한 회사가 인플레이션에 의한 피해가 있는지 검토하여 포트폴리오 조정에 반영해야 함

 

우크라이나- 러시아 전쟁

 - 미국 기업이 일괄적으로 정부가 주도하는 러시아 제재에 동참하는 것을 보면서 미국도 중국과 같은 문화가 있다 생각이 들게되아 자신의 투자에 영향을 줄 것이라 생각
 - 스위프트를 통해 러시아의 돈의 흐름을 막아버림.

 - 유럽도 제재에 참여하고 있음에도 에너지 관련 은행은 제재하지 않았으나 스위프트로 인해 러시아가 돈을 못 받아 에너지 수입이 막힐 수 있음

 - 러시아는 다행히 금을 자국에 보유하여 제재에도 버팀
 - 제재를 피할 수 있는 대안으로 비트코인이 부상

 

반응형

댓글